차의과학대 연구팀, 항약물항제 약물치료 효과 예측법 개발

면역항암제 성분인 아테졸리주맙을 투여받은 환자 일부에서 형성되는 항약물항체(anti-drug antibody)가 약물의 치료 효과를 줄일 수 있다.
전홍재, 김찬 차의과학대 교수팀은 아테졸리주맙 성분의 약물을 투여한 간암 환자의 면역항암치료 조기 내성에 항약물항체가 관련되어 있음을 규명했다.
아테졸리주맙은 간암 같은 다양한 암에서 치료 효과를 인정받은 면역항암제 성분이다. 다만 아테졸리주맙을 투여한 환자 중 적지 않은 수에서 항약물항체가 형성된다 지속적으로 보고됐다.
연구팀은 항암 1차 치료제로 아테졸리주맙을 투여 받은 간세포암 환자 170여명의 혈액 샘플과 임상정보를 확보했다. 그 다음 이들 중 3주 후 최종적으로 혈청 항약물항체 분석이 가능한 인원의 혈액을 분석했다.
그 결과 가능 인원 130여명 중 약 17.4%에서 항약물항체의 혈중 농도가 1000ng/ml 이상으로 높게 형성됐다.
항약물항체가 높게 형성된 환자들은 아테졸리주맙의 혈중 농도가 감소되고, 면역세포인 T세포의 증식 및 활성도도 낮았다. 항약물항체가 높게 형성된 환자들의 치료 효과는 항약물항체가 낮게 형성되거나 없는 환자들보다 저조했다.
연구팀은 아테졸리주맙에 대해 항약물항체가 지나치게 많이 형성된 환자의 경우 아테졸리주맙 면역항암치료의 효과가 저해될 수 있음을 제시했다.
김찬 교수는 "아테졸리주맙이 여러 암종 치료에 활발히 사용되는 만큼 향후 다양한 암종으로 연구를 확대해 이번 연구의 발견이 재현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해당 연구 결과는 JAMA Oncology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