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선이나 고기를 구울 때 나오는 가스는 천식 환자의 최대호흡률에 나쁜 영향을 준다. 굽는 방식의 요리는 다른 조리방식보다 독성가스가 많이 나오기 때문에, 곁에 천식 환자가 있으면 생선이나 고기는 굽지 않고 다른 방식으로 조리하는 게 좋다. 최대호흡률(PEFR)은 숨을 가장 크게 들이마신 뒤 가장 빠르고 힘있게 내쉬도록 하여 호흡능력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한양대와 순천향대 연구팀은 천식 환자 91명을 대상으로 집에서 고기를 굽는 빈도가 천식 환자의 호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집에서 고기나 생선 구이가 천식 환자의 호기 유속에 미치는 영향'(Impact of Grilling Meat or Fish at Home on Peak Expiratory Flow Rate in Adults With Asthma)을 2020년 발표했다. 일주일에 1번 이상 굽는 환자는 1번 이하 굽는 환자보다 최대호흡률이 뚜렷하게 낮게 나타났다.
원문 : Impact of Grilling Meat or Fish at Home on Peak Expiratory Flow Rate in Adults With Asthma
관련기사
- 재발한 호흡기 감염에 이스미젠 좋다
-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인지장애 영향 준다
- 코로나 확진자 진료 받으면 '환자 본인'이 부담
- "전문요양실 시범사업은 무면허 의료 부른다"
- 동물병원에서의 인체용 의약품 사용 논쟁
- "인종차별은 심각한 공중보건 문제"
- 마황이 한약재 찌꺼기보다 부작용 심각
- 쉰 살 넘는 여성이 기침에 민감하다?
- 식품 알레르기 여성, 나이 들수록 괴롭다
- 책상 앉는시간 줄여 근로자 건강 개선한다
- 임신부, 엽산보충제 잘못 복용하면 아기가 쌕쌕?
- 곡물을 다루는 직업은 천식 위험 높다
- 비타민D 부족하면 천식 앓기 쉽다
- 비타민D 부족할수록 천식 심해진다
- '바나나 알레르기'는 매우 드물다
- 혈청 비타민 D 농도가 낮을수록 천식 심각
- 한약재 다루는 직업에 천식 위험 있다
- 공기청정기, 천식 어린이 약물부담 줄인다
- 초미세먼지가 고혈압 유발?
- 면역결핍 환자는 천식발작 위험 높다
- 피부 침투 화학물질 천식 위험 높인다